EXHIBITIONS
Small Works
Apr 13 – May 12, 2017
Lee Eugean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a solo exhibition of Kim Bongtae (b. 1937). Kim Bongtae continues to keep alive the geometric tradition in the Korean art world with his unique art works with particular emphasis on formativeness employing primary colors. This exhibition includes both paintings and small sculptures in line with the series of works Dancing Box and Accumulation which most vividly show his formativeness.
+ READ MORE
After introducing abstract expressionism works influenced by early Informel style, Kim went to America in 1963 where he encountered works of color-plane abstraction and dipped into the mainstream modernist art of those days. Returning home after 30 years of absence, he began releasing a series of works titled Nonorientable, an attempt to express his identity-related agony, which he had suffered as an etranger in America, through works filled with traditional five colors of Korea known as Obangsaek. Since 1997, Kim has produced works showing playfulness of geometric forms using primary colors, passing through several stages of dynamic change leading ultimately to his geometric world of works: the Window series (1997~2004) was expressed in modified canvas and three dimensional modeling crossing the frontier between painting and sculpture; the Dancing Box series (2005~2009) revealed an illusory sense of space using material that allows the penetration of light; and the present Accumulation series (2007~ 2017) recorded daily life employing many boxes as its main motif. He’s never deflected into Monochrome, the gigantic mainstream which dominated Korean art world since 1970s and kept his unique art world, digging only into the fundamentals of geometric forms.
The organic abstraction and the illusory three-dimensionality which, as an important language, go through his art world have been revealed in an excellent way throughout the Dancing Box series which began during the mid-2000s. He spreads this way or that those boxes thrown away as useless, newly clothes them in color, casts them in bronze and finally resurrects them as drawings, paintings, and sculptures. Junk boxes are breathed into a new life personified as a dancing organism. The application of paint on both sides of the light-penetrating plexiglass evokes an illusory effect of a subdued sense of depth and spatiality emanating from semitransparent materials. The box on plexiglass, though a square on the plane, looks like a three dimensional object ready to fly off dancing lively.
Coming to Accumulation series, Kim takes as the main motif those boxes delivered home or purchased for personal use in his everyday life. The techniques for using plexiglass and boxes as material has been more sophisticated than in Dancing Box series. Sometimes the boxes are piled up like monuments, sometimes float freely around in various forms and even reproduce the texts written on the surface. They project the stream of consciousness of the artist who records his ordinary life through ordinary objects and then looks back life again through his works. Kim, in his works, has sought three-dimensionality rather than two dimensional paintings almost throughout his whole life. He always anguishes at borderlines between painting and sculpture and between figuration and non-figuration and yearns for freedom from any stereotypes whether in the forms of windows or square boxes.
Kim Bongtae is still active in building up his unique system of philosophy of formative art in which the border between paintings and sculptures looks like non-existent.
Kim Bongtae, as a founding member, joined in ‘Artists Association in 1960’ and ‘Actuel’ both of which were leading groups of Informel art movement of the 1960s. He also participated in the 1963 Paris Biennale. He was invited to a symposium organized by ‘International Plastic Art Association’ in New York, and taking this opportunity, decided to attend a graduate school in L.A. He was actively engaged as an artist here and there in California for the next 30 years. He returned to Korea in the late 1980s and has settled as a college professor and a full-time artist energetically producing works until now. In 2016, Kim was selected as one of the major senior artists in Korean art history and had a major retrospective exhibition, ‘Contemporary Korean Artists Series: Kim Bongtae’ a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Sunghui Lee
이유진갤러리는 4월 13일부터 5월 12일까지 김봉태(b. 1937~)의 개인전 «작은 그림들»을 개최한다. 김봉태작가는 원색의 색채와 기하학적 조형성이 두드러지는 작품세계로 한국 미술계에서 독보적으로 기하학적 명맥을 잇고 있는 작가이다. 이번 전시에는 그의 작업에서 가장 조형적 특징을 뚜렷이 드러내는 [춤추는 상자], [축적]연작의 회화와 조각을 비롯해 제작과정의 리얼리티를 상세히 드러내는 드로잉까지 50여년이 넘는 작업과정에서 얻은 색과 형태에 관한 근원적인 물음에 대한 압축적인 답변이자 한국적 조형미의 정수를 담아낸 작은 소품들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 READ MORE
김봉태는 초기 엥포르멜 영향으로 표현적인 추상작업을 선보인 이후 63년 미국 유학을 계기로 색면 추상을 접하였고 당대의 주류 모더니즘회화를 섭렵하였다. 30여년의 미국 생활을 마치고 국내생활을 시작하기 즈음 발표했던 [비시원]시리즈에는 한국 전통의 오방색이 만연한 작업들을 통해 외부세계에서 이방인이었던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작품 안에 풀어내었다. 1997년을 기점으로 원색의 강렬한 컬러와 조형의 유희성을 보여주는 작업으로 변모하였는데 회화와 조각의 간극을 넘나드는 변형캔버스나 입체 조형으로 나타나는 [창문]연작으로부터, 빛이 투과하는 재료를 사용하여 환영적인 공간감을 보여주는 [춤추는 상자]연작, 그리고 현재에 이르러 다수의 상자를 모티프로 일상의 삶을 기록하는 [축적]시리즈까지 기하학적 작품세계로 이르는 역동적인 변화의 단계를 거쳐왔다. 70년대 이후 한국 미술계를 주도해 온 모노크롬(단색)이라는 거대한 주류에 편승하지 않고 회화의 기본적 요소인 색과 기하학적 조형의 본질에 천착한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지켜온 작가이다.
작가의 작업세계를 관통하는 하나의 중요한 언어로서 유기적 추상과 환영적인 입체성은 200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춤추는 상자 Dancing Box]연작을 통해 드러난다. 쓸모 없어 버려진 상자에 대한 관심을 시작으로 상자를 이리저리 펼쳐 보고 색을 입히고 청동으로 캐스팅하며 드로잉, 회화, 조각으로 확대되었다. 의미 없이 버려졌던 상자는 생명을 부여 받아 마치 춤을 추듯 의인화된 유기체의 형상으로 나타난다. 빛을 투과하는 재료인 플렉시글라스의 앞면과 뒷면에 각각 물감을 칠하게 되면 은은하게 비치는 반투명한 재료에서 오는 부드러운 깊이감과 공간감이 확장되는 듯한 환영적 효과를 자아내게 된다. 플렉시글라스 위에 상자는 평면에 그려진 네모 상자 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춤을 추며 날아갈 듯 생동감 있는 입체작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춤추는 상자들에서 발전되어 [축적 Accumulation]시리즈에 이르러서는 실생활에 더욱 밀접 되어 집에 배달되어오거나 구입한 상자들을 모티프로 한다. 상자라는 소재와 플렉시글라스의 사용은 [춤추는 상자]에서 보다 심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수의 상자들은 기념비적으로 쌓아 올려졌거나 화면 안에 자유롭게 구성되기도 하며 때로는 표면에 쓰인 텍스트까지 재현되기도 한다. 일상의 물건들을 통해 주변의 삶을 기록하고 작업을 통해 삶을 다시 돌아보고자 하는 작가의 의식의 흐름이 투영된 작업이다. 작가의 작업은 거의 일생에 거쳐 평면적인 회화보다 3차원의 입체성으로 추구되어왔다. 회화와 조각 사이, 추상과 구상 사이의 경계에서 늘 고민하였으며 창이 되었든 네모난 박스가 되었든 그것의 테두리 안과 밖을 넘나들며 틀을 벗어난 자유로움을 갈구하였다.
회화 같은 조각, 조각 같은 회화라는 자신만의 조형 철학을 이루고자 김봉태 작가는 현재도 왕성히 활동 중이다.
김봉태 작가는 60년대 국내 엥포르멜 미술의 주도적 그룹이었던 ‘60미협’과 ‘악뛰엘’의 창립멤버로 활동하였고 1963년 파리비엔날레에 참여하였다. 같은 해 뉴욕에서 개최되는 국제조형미술협회 심포지움에 초대된 것을 계기로 L.A에 있는 대학원에 진학하고 캘리포니아 등지에서 30여년간 꾸준히 활동하였다. 80년대 후반 국내 대학교 교수로 한국에 들어와 이후 정착하게 되면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왕성한 작품세계를 선보여왔다. 한국미술계 주요 작가들의 작품세계를 통해 한국미술사를 정립하고자 기획된 한국현대미술작가시리즈의 한 작가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2016년에 대규모 회고전을 가진 바 있다.
Works
Dancing Box 2005-112005, Acrylic & Tape on Frosted Plexiglass, 90 x 180cm
Dancing Box 2005-642005, Acrylic & Tape on Frosted Plexiglass, 90 x 180cm
Dancing Box 2009-1162009, Acrylic & Tape on Frosted Plexiglass, 120 x 90cm
Dancing Box 2009-1172009, Acrylic & Tape on Frosted Plexiglass, 120 x 90cm
Dancing Box 2009-1232009, Acrylic & Tape on Frosted Plexiglass, 90 x 90cm
Dancing box 2009-82009, Acrylic & Tape on Frosted Plexiglass, 90 x 60cm
Lee Eugean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a solo exhibition of Kim Bongtae (b. 1937). Kim Bongtae continues to keep alive the geometric tradition in the Korean art world with his unique art works with particular emphasis on formativeness employing primary colors. This exhibition includes both paintings and small sculptures in line with the series of works Dancing Box and Accumulation which most vividly show his formativeness.
After introducing abstract expressionism works influenced by early Informel style, Kim went to America in 1963 where he encountered works of color-plane abstraction and dipped into the mainstream modernist art of those days. Returning home after 30 years of absence, he began releasing a series of works titled Nonorientable, an attempt to express his identity-related agony, which he had suffered as an etranger in America, through works filled with traditional five colors of Korea known as Obangsaek. Since 1997, Kim has produced works showing playfulness of geometric forms using primary colors, passing through several stages of dynamic change leading ultimately to his geometric world of works: the Window series (1997~2004) was expressed in modified canvas and three dimensional modeling crossing the frontier between painting and sculpture; the Dancing Box series (2005~2009) revealed an illusory sense of space using material that allows the penetration of light; and the present Accumulation series (2007~ 2017) recorded daily life employing many boxes as its main motif. He’s never deflected into Monochrome, the gigantic mainstream which dominated Korean art world since 1970s and kept his unique art world, digging only into the fundamentals of geometric forms.
+ READ MORE
The organic abstraction and the illusory three-dimensionality which, as an important language, go through his art world have been revealed in an excellent way throughout the Dancing Box series which began during the mid-2000s. He spreads this way or that those boxes thrown away as useless, newly clothes them in color, casts them in bronze and finally resurrects them as drawings, paintings, and sculptures. Junk boxes are breathed into a new life personified as a dancing organism. The application of paint on both sides of the light-penetrating plexiglass evokes an illusory effect of a subdued sense of depth and spatiality emanating from semitransparent materials. The box on plexiglass, though a square on the plane, looks like a three dimensional object ready to fly off dancing lively.
Coming to Accumulation series, Kim takes as the main motif those boxes delivered home or purchased for personal use in his everyday life. The techniques for using plexiglass and boxes as material has been more sophisticated than in Dancing Box series. Sometimes the boxes are piled up like monuments, sometimes float freely around in various forms and even reproduce the texts written on the surface. They project the stream of consciousness of the artist who records his ordinary life through ordinary objects and then looks back life again through his works. Kim, in his works, has sought three-dimensionality rather than two dimensional paintings almost throughout his whole life. He always anguishes at borderlines between painting and sculpture and between figuration and non-figuration and yearns for freedom from any stereotypes whether in the forms of windows or square boxes.
Kim Bongtae is still active in building up his unique system of philosophy of formative art in which the border between paintings and sculptures looks like non-existent.
Kim Bongtae, as a founding member, joined in ‘Artists Association in 1960’ and ‘Actuel’ both of which were leading groups of Informel art movement of the 1960s. He also participated in the 1963 Paris Biennale. He was invited to a symposium organized by ‘International Plastic Art Association’ in New York, and taking this opportunity, decided to attend a graduate school in L.A. He was actively engaged as an artist here and there in California for the next 30 years. He returned to Korea in the late 1980s and has settled as a college professor and a full-time artist energetically producing works until now. In 2016, Kim was selected as one of the major senior artists in Korean art history and had a major retrospective exhibition, ‘Contemporary Korean Artists Series: Kim Bongtae’ a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의미가 된 태도, ‘그리기’
이유진갤러리는 4월 13일부터 5월 12일까지 김봉태(b. 1937~)의 개인전 «작은 그림들»을 개최한다. 김봉태작가는 원색의 색채와 기하학적 조형성이 두드러지는 작품세계로 한국 미술계에서 독보적으로 기하학적 명맥을 잇고 있는 작가이다. 이번 전시에는 그의 작업에서 가장 조형적 특징을 뚜렷이 드러내는 [춤추는 상자], [축적]연작의 회화와 조각을 비롯해 제작과정의 리얼리티를 상세히 드러내는 드로잉까지 50여년이 넘는 작업과정에서 얻은 색과 형태에 관한 근원적인 물음에 대한 압축적인 답변이자 한국적 조형미의 정수를 담아낸 작은 소품들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김봉태는 초기 엥포르멜 영향으로 표현적인 추상작업을 선보인 이후 63년 미국 유학을 계기로 색면 추상을 접하였고 당대의 주류 모더니즘회화를 섭렵하였다. 30여년의 미국 생활을 마치고 국내생활을 시작하기 즈음 발표했던 [비시원]시리즈에는 한국 전통의 오방색이 만연한 작업들을 통해 외부세계에서 이방인이었던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작품 안에 풀어내었다. 1997년을 기점으로 원색의 강렬한 컬러와 조형의 유희성을 보여주는 작업으로 변모하였는데 회화와 조각의 간극을 넘나드는 변형캔버스나 입체 조형으로 나타나는 [창문]연작으로부터, 빛이 투과하는 재료를 사용하여 환영적인 공간감을 보여주는 [춤추는 상자]연작, 그리고 현재에 이르러 다수의 상자를 모티프로 일상의 삶을 기록하는 [축적]시리즈까지 기하학적 작품세계로 이르는 역동적인 변화의 단계를 거쳐왔다. 70년대 이후 한국 미술계를 주도해 온 모노크롬(단색)이라는 거대한 주류에 편승하지 않고 회화의 기본적 요소인 색과 기하학적 조형의 본질에 천착한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지켜온 작가이다.
+ READ MORE
작가의 작업세계를 관통하는 하나의 중요한 언어로서 유기적 추상과 환영적인 입체성은 200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춤추는 상자 Dancing Box]연작을 통해 드러난다. 쓸모 없어 버려진 상자에 대한 관심을 시작으로 상자를 이리저리 펼쳐 보고 색을 입히고 청동으로 캐스팅하며 드로잉, 회화, 조각으로 확대되었다. 의미 없이 버려졌던 상자는 생명을 부여 받아 마치 춤을 추듯 의인화된 유기체의 형상으로 나타난다. 빛을 투과하는 재료인 플렉시글라스의 앞면과 뒷면에 각각 물감을 칠하게 되면 은은하게 비치는 반투명한 재료에서 오는 부드러운 깊이감과 공간감이 확장되는 듯한 환영적 효과를 자아내게 된다. 플렉시글라스 위에 상자는 평면에 그려진 네모 상자 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춤을 추며 날아갈 듯 생동감 있는 입체작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춤추는 상자들에서 발전되어 [축적 Accumulation]시리즈에 이르러서는 실생활에 더욱 밀접 되어 집에 배달되어오거나 구입한 상자들을 모티프로 한다. 상자라는 소재와 플렉시글라스의 사용은 [춤추는 상자]에서 보다 심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수의 상자들은 기념비적으로 쌓아 올려졌거나 화면 안에 자유롭게 구성되기도 하며 때로는 표면에 쓰인 텍스트까지 재현되기도 한다. 일상의 물건들을 통해 주변의 삶을 기록하고 작업을 통해 삶을 다시 돌아보고자 하는 작가의 의식의 흐름이 투영된 작업이다. 작가의 작업은 거의 일생에 거쳐 평면적인 회화보다 3차원의 입체성으로 추구되어왔다. 회화와 조각 사이, 추상과 구상 사이의 경계에서 늘 고민하였으며 창이 되었든 네모난 박스가 되었든 그것의 테두리 안과 밖을 넘나들며 틀을 벗어난 자유로움을 갈구하였다.
회화 같은 조각, 조각 같은 회화라는 자신만의 조형 철학을 이루고자 김봉태 작가는 현재도 왕성히 활동 중이다.
김봉태 작가는 60년대 국내 엥포르멜 미술의 주도적 그룹이었던 ‘60미협’과 ‘악뛰엘’의 창립멤버로 활동하였고 1963년 파리비엔날레에 참여하였다. 같은 해 뉴욕에서 개최되는 국제조형미술협회 심포지움에 초대된 것을 계기로 L.A에 있는 대학원에 진학하고 캘리포니아 등지에서 30여년간 꾸준히 활동하였다. 80년대 후반 국내 대학교 교수로 한국에 들어와 이후 정착하게 되면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왕성한 작품세계를 선보여왔다. 한국미술계 주요 작가들의 작품세계를 통해 한국미술사를 정립하고자 기획된 한국현대미술작가시리즈의 한 작가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2016년에 대규모 회고전을 가진 바 있다.
이정훈, 예술학∙서울문화재단
WORKS
Dancing Box 2005-112005, Acrylic & Tape on Frosted Plexiglass, 90 x 180cm
Dancing Box 2005-642005, Acrylic & Tape on Frosted Plexiglass, 90 x 180cm
Dancing Box 2009-1162009, Acrylic & Tape on Frosted Plexiglass, 120 x 90cm
Dancing Box 2009-1172009, Acrylic & Tape on Frosted Plexiglass, 120 x 90cm
Dancing Box 2009-1232009, Acrylic & Tape on Frosted Plexiglass, 90 x 90cm
Dancing box 2009-82009, Acrylic & Tape on Frosted Plexiglass, 90 x 60cm
© 2023 LEE EUGEAN GALL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