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HIBITIONS
affaire de coeur 4
May 17– Jun 9, 2018
Andreas Christen
Weissfeld
Max Bill
Bakery Studio
Lee Eugean Gallery is pleased to announce affaire de coeur 4, an exhibition of a collection of furniture, music, and artwork organized by Rudolf Ruegg. This is the collector’s fourth showing at the gallery following his third exhibition last year. The exhibition will open on May 17, 2018, and continue through June 09, 2018.
Rudolf’s latest collection consists of furniture by Max Bill, Andreas Christen, Bakery Studio, Weissfeld, music by Harold Budd, and artwork by Korean artist Kim Bong Tae all carefully hand-picked by the collector.
“This exhibition is simply about things that move me and things that I want to show and share with people,” he says. The space in which furniture, music and artwork are all freely arranged will be completely subjective to his tastes and beliefs. We look forward you to experiencing this unpredictable space where different art forms clash and reconcile.
+ READ MORE
A cluster of summer trees,
A bit of the sea,
A pale evening moon.
Kobori Enshû(1579-1647), a renowned garden designer and a tea master in Japanese history, thinks this phrase contains the principle of Japanese gardens. But the poem does not speak of space directly. Rather, it refers to the emptiness of space and the universe that looks from it. Among the many ways to describe space, the poet chose to become the space itself and look at the world. Kobori Enshû, who designed many of famous Japanese gardens that still remain today, seems to have discovered the secret of reading the space in this way of looking and thinking.
Kim Bong Tae is recognized as one of the singular figures in Korean Color Field painting. But his work has more room to be expressed in a word, Color Field painting. W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is the invisible space he ultimately intends to express through vivid colors and surfaces. His work may be an attempt to express the artist himself and the world around him through this invisible space. In other words, emptying out the space may be a process to demonstrate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in a multi-faceted way. Or it may be a process that aims to become a window or a channel that connects people with the world.
«island / empty island», the fourth exhibition organized by designer and collector Rudolf Ruegg, is therefore linked to the work of Kim Bong Tae. Unlike the title, this exhibition presents the world viewed from the island, not the island itself. As one can easily imagine, an island is a separate breed of a person. The island is connected yet isolated.
And the island is empty. People look at the world from the island. The world looks sharp, but the more we look at it, the more distant and ambiguous it becomes. Maybe the world is empty, not the island. The story of the finger pointing at the moon appears in [Neungeomgyeong], now overlaps here. Once again, the secret of Kim Bong Tae’s work comes to mind.
This exhibition is full of chairs. A chair famous for its colored version is on display as being first made a hundred years ago. Is the well-known colored version a shadow of its original? Or is it the other way around? Kim Bong Tae's work on the wall and the furniture on display were created in different places and periods without knowing each other's existence. And in May 2018, they finally face each other calmly and silently.
Like the story of the finger pointing at the moon, we see an empty island. Instead of a vast expanse of sea, we see the sea that seems almost invisible between the trees under the evening moon. The sea that will not be seen on a continent full of fuss. The sea that will not be seen unless I became a window itself. It is only through such bright eyes that we discover the true color of the world. The true color cannot be found by lighting a lamp or using a magnifying glass. It can only be found when we step away from it and look from a distance.
«island / empty island» refers to an island but does not show the island. And that is the reason why Kim Bong Tae's works were needed for this exhibition. It can only be completed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artist. Now it is time to go into the space and look for the hidden sea and the moon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sea.
Cho Yoonjoo
일본 다도의 고전 [차와시게츠슈 茶話持月集]에는 “夕月夜海少しある木の間かな”라는 시구가 실려 있다.
여름나무 사이로 바다가 조금 있고 휑한 저녁달
A cluster of summer trees,
A bit of the sea,
A pale evening moon.
일본 역사에서 유명한 정원 제작자이며 다인(茶人)이기도 한 고보리 엔슈(Kobori EnShiu 小堀遠州 1579-1647)는 이 구절에 일본 다실 정원의 구성 원리가 담겨 있다고 보았다 한다. 하지만 이 시는 직접 공간을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공간의 ‘비움’, 그리고 그 공간에서 바라보는 우주를 말한다. 공간을 설명하는 여러 방법 중에서, 이 시는 그 공간 자체가 되어 공간에 들어가 세계를 바라보는 법을 선택한 것이다.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일본의 여러 이름난 정원을 설계한 고보리 엔슈는, 이처럼 시선과 사유방식에서 공간을 읽는 비밀을 발견했던 듯하다.
+ READ MORE
작가 김봉태는 색면회화의 대가이며, 명실상부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의 한 사람이다. 그러나 “색면회화”라는 표현으로 갈음하기에는 그의 작업은 더 많은 여지를 품고 있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그가 선명한 색과 면을 통해 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보이지 않는 공간”이 아닐까 싶다. 그의 작업은 작가 자신을, 작가의 작품 자체를 비움으로써 더 큰 공간과 세계를 표현하려는 시도는 아닐까. 바꾸어 말하자면 우주의 원리를 다면적으로 해석해 보여주려는, 그리하여 사람과 세계의 통로 또는 창문이 되고자 하는 과정은 아니었을까.
디자이너이며 컬렉터인 루돌프 뤼에그가 기획한 네 번째 전시 «island / empty island»는 그래서 김봉태 작가의 작업과 닿아 있다. 회화와 가구의 협업으로 이뤄지는 이 전시는 표제와 달리 섬이 아니라, 섬에서 바라보는 세계를 제시한다. 누구나 쉽게 상상할 수 있듯, 섬이란 한 사람 한 사람의 개별자라고 할 수 있다. 섬과 섬은 이어져 있으나 고립되어 있다.
그리고 섬은 텅 비어 있다. 그 섬에서 사람은 세계를 바라본다. 세상이란 선명해 보이지만 바라볼수록 아득하고 모호해진다. 섬이 아니라 세계가 비어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능엄경(楞嚴經)]에 나온다는, 달을 가리키는데 정작 그 가리키는 손가락만 바라본다는 이야기가 여기에 겹치지 않는가 (如人以手指月示人 彼人因指 當應看月 若復觀指 以爲月體, 此人豈唯亡失月輪, 亦亡其指). 다시 한 번, 김봉태 작가의 작업의 비밀이 연상되는 순간이다.
«island / empty island» 전시는 유독 의자들이 많다. 오늘날에는 색깔 있는 버전으로 유명해졌으나, 100년 전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색깔이 없었다는 의자를 애초의 그 모습으로 만날 수 있기도 하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색채 있는 의자와 그 원본이라는 색채가 없는 의자는 어느 쪽이 어느 쪽의 그림자일까. 전시 공간의 벽에 걸린 김봉태 작가의 작업과 전시된 가구들은 서로가 서로의 존재를 모르는 채 다른 시대 다른 곳에서 창조되었으나, 2018년 5월의 어느 날 서로를 마주 보며 고요히 조응하기에 이르렀다.
손가락이 아닌 달을 보듯, 섬이 아니라 “비어 있는” 섬을 본다. 한눈에 드넓게 펼쳐져 있는 바다가 아니라, 저녁 달 아래 나무 사이로 보일 듯 안 보이는 바다를 본다. 소란함으로 가득한 대륙에서라면 보이지 않을 바다, 비어 있어 나 자신이 창문이 되지 않으면 보이지 않는 바다. 그렇게 밝아진 눈을 통할 때 비로소 세계의 진정한 색채를 발견하게 된다. 진정한 색채는 등불을 환히 밝히거나 확대경을 들이대고서는 찾을 수 없다. 색채에서 물러나 눈을 감거나, 아득히 먼 눈으로 넌지시 바라볼 때 저절로 보이게 ‘되는’ 것일 뿐.
«Island / Empty Island»는 섬을 말하지만 섬을 보여주지 않는다. 김봉태 작가의 작업들이 이 작업에 필요했던 이유가 여기 있다. 작가와의 협업을 통해 이 전시가 성립될 수 있었다. 이제 그 공간으로 들어가 숨어 있는 바다와 그 수면에 비친 달을 찾아볼 차례이다.
글: 조윤주
Works
affaire de coeur 4
May 17 – Jun 9, 2018
Andreas Christen
Weissfeld
Max Bill
Bakery Studio
Lee Eugean Gallery is pleased to announce affaire de coeur 4, an exhibition of a collection of furniture, music, and artwork organized by Rudolf Ruegg. This is the collector’s fourth showing at the gallery following his third exhibition last year. The exhibition will open on May 17, 2018, and continue through June 09, 2018.
Rudolf’s latest collection consists of furniture by Max Bill, Andreas Christen, Bakery Studio, Weissfeld, music by Harold Budd, and artwork by Korean artist Kim Bong Tae all carefully hand-picked by the collector.
“This exhibition is simply about things that move me and things that I want to show and share with people,” he says. The space in which furniture, music and artwork are all freely arranged will be completely subjective to his tastes and beliefs. We look forward you to experiencing this unpredictable space where different art forms clash and reconcile.
+ READ MORE
A cluster of summer trees,
A bit of the sea,
A pale evening moon.
Kobori Enshû(1579-1647), a renowned garden designer and a tea master in Japanese history, thinks this phrase contains the principle of Japanese gardens. But the poem does not speak of space directly. Rather, it refers to the emptiness of space and the universe that looks from it. Among the many ways to describe space, the poet chose to become the space itself and look at the world. Kobori Enshû, who designed many of famous Japanese gardens that still remain today, seems to have discovered the secret of reading the space in this way of looking and thinking.
Kim Bong Tae is recognized as one of the singular figures in Korean Color Field painting. But his work has more room to be expressed in a word, Color Field painting. W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is the invisible space he ultimately intends to express through vivid colors and surfaces. His work may be an attempt to express the artist himself and the world around him through this invisible space. In other words, emptying out the space may be a process to demonstrate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in a multi-faceted way. Or it may be a process that aims to become a window or a channel that connects people with the world.
«island / empty island», the fourth exhibition organized by designer and collector Rudolf Ruegg, is therefore linked to the work of Kim Bong Tae. Unlike the title, this exhibition presents the world viewed from the island, not the island itself. As one can easily imagine, an island is a separate breed of a person. The island is connected yet isolated.
And the island is empty. People look at the world from the island. The world looks sharp, but the more we look at it, the more distant and ambiguous it becomes. Maybe the world is empty, not the island. The story of the finger pointing at the moon appears in [Neungeomgyeong], now overlaps here. Once again, the secret of Kim Bong Tae’s work comes to mind.
This exhibition is full of chairs. A chair famous for its colored version is on display as being first made a hundred years ago. Is the well-known colored version a shadow of its original? Or is it the other way around? Kim Bong Tae's work on the wall and the furniture on display were created in different places and periods without knowing each other's existence. And in May 2018, they finally face each other calmly and silently.
Like the story of the finger pointing at the moon, we see an empty island. Instead of a vast expanse of sea, we see the sea that seems almost invisible between the trees under the evening moon. The sea that will not be seen on a continent full of fuss. The sea that will not be seen unless I became a window itself. It is only through such bright eyes that we discover the true color of the world. The true color cannot be found by lighting a lamp or using a magnifying glass. It can only be found when we step away from it and look from a distance.
«island / empty island» refers to an island but does not show the island. And that is the reason why Kim Bong Tae's works were needed for this exhibition. It can only be completed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artist. Now it is time to go into the space and look for the hidden sea and the moon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sea.
Cho Yoonjoo
일본 다도의 고전 [차와시게츠슈 茶話持月集]에는 “夕月夜海少しある木の間かな”라는 시구가 실려 있다.
여름나무 사이로 바다가 조금 있고 휑한 저녁달
A cluster of summer trees,
A bit of the sea,
A pale evening moon.
일본 역사에서 유명한 정원 제작자이며 다인(茶人)이기도 한 고보리 엔슈(Kobori EnShiu 小堀遠州 1579-1647)는 이 구절에 일본 다실 정원의 구성 원리가 담겨 있다고 보았다 한다. 하지만 이 시는 직접 공간을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공간의 ‘비움’, 그리고 그 공간에서 바라보는 우주를 말한다. 공간을 설명하는 여러 방법 중에서, 이 시는 그 공간 자체가 되어 공간에 들어가 세계를 바라보는 법을 선택한 것이다.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일본의 여러 이름난 정원을 설계한 고보리 엔슈는, 이처럼 시선과 사유방식에서 공간을 읽는 비밀을 발견했던 듯하다.
+ READ MORE
작가 김봉태는 색면회화의 대가이며, 명실상부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의 한 사람이다. 그러나 “색면회화”라는 표현으로 갈음하기에는 그의 작업은 더 많은 여지를 품고 있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그가 선명한 색과 면을 통해 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보이지 않는 공간”이 아닐까 싶다. 그의 작업은 작가 자신을, 작가의 작품 자체를 비움으로써 더 큰 공간과 세계를 표현하려는 시도는 아닐까. 바꾸어 말하자면 우주의 원리를 다면적으로 해석해 보여주려는, 그리하여 사람과 세계의 통로 또는 창문이 되고자 하는 과정은 아니었을까.
디자이너이며 컬렉터인 루돌프 뤼에그가 기획한 네 번째 전시 «island / empty island»는 그래서 김봉태 작가의 작업과 닿아 있다. 회화와 가구의 협업으로 이뤄지는 이 전시는 표제와 달리 섬이 아니라, 섬에서 바라보는 세계를 제시한다. 누구나 쉽게 상상할 수 있듯, 섬이란 한 사람 한 사람의 개별자라고 할 수 있다. 섬과 섬은 이어져 있으나 고립되어 있다.
그리고 섬은 텅 비어 있다. 그 섬에서 사람은 세계를 바라본다. 세상이란 선명해 보이지만 바라볼수록 아득하고 모호해진다. 섬이 아니라 세계가 비어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능엄경(楞嚴經)]에 나온다는, 달을 가리키는데 정작 그 가리키는 손가락만 바라본다는 이야기가 여기에 겹치지 않는가 (如人以手指月示人 彼人因指 當應看月 若復觀指 以爲月體, 此人豈唯亡失月輪, 亦亡其指). 다시 한 번, 김봉태 작가의 작업의 비밀이 연상되는 순간이다.
«island / empty island» 전시는 유독 의자들이 많다. 오늘날에는 색깔 있는 버전으로 유명해졌으나, 100년 전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색깔이 없었다는 의자를 애초의 그 모습으로 만날 수 있기도 하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색채 있는 의자와 그 원본이라는 색채가 없는 의자는 어느 쪽이 어느 쪽의 그림자일까. 전시 공간의 벽에 걸린 김봉태 작가의 작업과 전시된 가구들은 서로가 서로의 존재를 모르는 채 다른 시대 다른 곳에서 창조되었으나, 2018년 5월의 어느 날 서로를 마주 보며 고요히 조응하기에 이르렀다.
손가락이 아닌 달을 보듯, 섬이 아니라 “비어 있는” 섬을 본다. 한눈에 드넓게 펼쳐져 있는 바다가 아니라, 저녁 달 아래 나무 사이로 보일 듯 안 보이는 바다를 본다. 소란함으로 가득한 대륙에서라면 보이지 않을 바다, 비어 있어 나 자신이 창문이 되지 않으면 보이지 않는 바다. 그렇게 밝아진 눈을 통할 때 비로소 세계의 진정한 색채를 발견하게 된다. 진정한 색채는 등불을 환히 밝히거나 확대경을 들이대고서는 찾을 수 없다. 색채에서 물러나 눈을 감거나, 아득히 먼 눈으로 넌지시 바라볼 때 저절로 보이게 ‘되는’ 것일 뿐.
«Island / Empty Island»는 섬을 말하지만 섬을 보여주지 않는다. 김봉태 작가의 작업들이 이 작업에 필요했던 이유가 여기 있다. 작가와의 협업을 통해 이 전시가 성립될 수 있었다. 이제 그 공간으로 들어가 숨어 있는 바다와 그 수면에 비친 달을 찾아볼 차례이다.
글: 조윤주
WORKS
© 2023 LEE EUGEAN GALL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