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HIBITIONS
Multi-Dimensional Creatures - Structure of Meanings
Sep 6 – Oct 6, 2018
Monsters
Monsters are created by a confusion of identity. The confus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is and that, the unrecognizable beings who live in a country of chaos and disorder. Those are the monsters.
A few of these monsters have appeared in my solo exhibition in 2006.
For me, at the time, a monster was the word referring to the whole of undefinable figures. Unknown and nameless figures, but obviously existing, and ever-growing forms. Not only were these mysterious figures the subject of curiosity but also the cause of obsession.
The unknown world and the existence of unknown beings are the sources of fear for humans. Humans always tend to instinctively reject things beyond the boundary of their perception, whether they are simple thoughts or beings. And these things can be seen as monsters.
+ READ MORE
I have lived with these monstrous figures for a long time. These monsters surrounded me like air and I was captivated by them, thrown into, and enjoyed the world without knowing it was the monsters’ world. They dominated me in both dream and reality. Among them, I naturally developed a desire for order. The desire for order, of course, is the desire to give an order to monsters, which are the symbols of disorder and chaos.
To put it simply, I was curious about the monsters’ identities. I wanted to know what caused the disorder and chaos that caused the monsters to exist, and what caused the monsters and the world to exist for. I had to.
So what was made is Budo theory. Budo theory is a way to give an order to the chaotic world of figures and recognize it. It is impossible to explore the world of monsters full of chaos and disorder without a clear and recognizable basis as possible. The world of chaos and disorder is a cause of fear, but also the world full of new information, and it cannot be gained without facing the world of chaos. It is new because it exists in the area I have never known, and therefore is on the line between chaos and order. The world of chaos and disorder coexist in a relative concept with the world of harmony and order. One disappears, the other disappears.
Obviously, expanding the boundary of perception is a result of imposing order in the world of chaos. However, as the boundary of perception expands, so does the world of chaos and disorder. Because a sense of order is also a state of temporary chaos. Once established, the boundary of perception is likely to collapse again, creating another chaotic state. The chaotic state is also for a boundary of a new dimension. New information is like setting boundaries for new perceptions, which are always created by rescheduling the confusion of existing boundaries.
By using Budo theory, I have learned how to lock monsters into the boundary of perception.
The World of Symbols
The world of symbols is a world of multi-dimensional creatures and of consciousness. Multi-dimensional creatures are those in which the invisible workings of humans appear in colors and shapes. When they are unrecognizable, they are monsters and chaos but if recognized, they become multi-dimensional creatures. Thus, the boundary between monsters and multi-dimensional creatures are the boundaries of perception.
The world of consciousness is a world of symbols. There is no way we can directly perceive objects without symbols. Therefor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ymbols are the world we experience in the most direct state.
Structure of Meaning — Multi-Dimensional Creatures
Interpretation of paintings is free. Each person sees it as s/he feels like it. So do not ask me. I have been saying to people who ask what a painting means. But it is time to make some adjustments to that.
Freedom is good. But is it really so? Looking around, we can see that freedom always comes with a certain rule. There cannot be freedom of movement without the premise of the four cardinal directions. If I cannot see the direction, I would not be able to know whether I am going forward or walking in place, which makes the term ‘freedom of action’ meaningless.
More so is the mental freedom that is achieved in the invisible world. Because I cannot see it. Freedom in the invisible spiritual world can easily fall into spiritual anarchy. To claim unlimited freedom is as silly as to argue that no form, only the nature of color can appear. Color cannot appear without form, nor can it appear without color. They can be separated conceptually, but they actually work as one. So is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dom and law.
The monstrous shapes in the chaotic world are dressed in colors and forms.
So what do these paintings mean? They convey the structure of mean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colors, forms, and shapes that make up a painting is not a specific meaning, but a structure of meaning. The structure of this meaning acts as a vessel of one's own interpretation. Freedom of interpretation is within the limits of the structure of the vessel. That means that each freedom to derive a specific meaning is within the limits of the structure of the meaning. What the picture presents is the structure of meaning. It is up to the viewer to decide what to include in the structure of meaning. This is why many interpretations are possible in a single painting.
This visible structure of meaning is multi-dimensional creatures. It can be said that they are monsters in the framework of perception.
The monsters are now multi-dimensional creatures.
Suejin Chung
괴물들
괴물은 정체성의 혼돈이 만든다. 이것과 저것을 가르는 경계의 혼선, 그래서 인식할 수 없는 존재, 혼돈과 무질서의 나라에 살고 있는 주민들이 바로 괴물들이다.
2006년 개인전에 몇 개의 괴물들이 등장했다.
그 당시 내게 괴물이란 그림을 그리고는 있지만 뭐가 뭔지 규정할 수 없는 형상들 전체를 지칭하는 단어였다. 알 수 없고 이름 붙일 수 없는 형상들, 그러나 분명히 존재하고 있고, 존재할 뿐만 아니라 계속 증식하며 나타나는 형상들, 이 정체를 알 수 없는 형상들은 호기심의 대상이기도 했지만 강박증의 원인이기도 했다.
— 미지의 세계, 정체불명의 존재들은 인간들에게 근원적 공포의 대상이다. 그래서 인간들은 언제나 자신의 인식의 경계를 벗어난 것들을, 그것이 단순한 생각이건, 존재이건 간에 본능적으로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그런 것들은 괴물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 READ MORE
나는 오랜 시간 괴물과 같은 형상들과 함께 생활해 왔다. 괴물들은 마치 공기처럼 내 주변을 에워싸고 있었고 나는 그것들에게 사로잡혀서 그것이 괴물의 세계인 것을 모른 체 그 세계에 빠져들었고 탐닉했었다. 괴물들은 꿈과 현실 양쪽에서 나를 지배하고 있었다. 그 가운데에서 아주 자연스럽게 내게는 질서에 관한 욕구가 반작용처럼 생겨났다. 질서에 대한 욕구, 그것은 당연히 무질서와 혼돈의 상징인 괴물들에게 질서를 부여하려는 욕구에 다름 아니다.
쉽게 말해서 나는 괴물의 정체가 궁금했었던 것 같다. 괴물을 존재하게 한 무질서와 혼돈의 원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괴물들과 그 세계는 무엇 때문에 존재하는지 알고 싶었다. 그럴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부도 이론이다. 부도 이론은 무질서하고 혼돈스러운 형상의 세계에 질서를 부여하여 인식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다. 가능한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기반이 없이 혼돈과 무질서로 가득한 괴물들의 세계를 탐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혼돈과 무질서의 세계는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이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새로운 정보들이 가득 찬 세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혼돈의 세계를 대면하지 않고서는 새로움이란 없다. 새로운 정보는 내가 지금까지 알 수 없었던 영역에 존재하기 때문에 새로운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혼돈과 질서의 경계에 있다.
혼돈과 무질서의 세계는 조화와 질서의 세계와 상대적 개념으로 공존하는 세계다. 하나가 사라지면 나머지 하나도 사라진다.
확실히 인식의 경계가 확장된다는 것은 혼돈의 세계에 질서를 부여하는 행위의 결과이기는 하다. 그러나 인식의 경계가 확장될수록 그와 비례하여 혼돈과 무질서의 세계도 확장된다. 왜냐하면 질서란 잠정적인 혼돈의 상태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한번 세워진 인식의 경계는 다시 무너져서 또 다른 혼돈 상태를 만들 가능성이 있다. 그 혼돈 상태는 새로운 차원의 경계를 위한 것이기도 하다. 새로운 정보는 새로운 인식의 경계를 세우는 것과 같고 이것은 언제나 기존 경계의 혼돈을 재정리하면서 만들어진다.
부도이론을 이용해서 나는 괴물과 같은 형상들을 인식의 경계에 가둘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상징의 세계
상징의 세계는 다차원 생물들의 세계이며 의식의 세계다. 인간들의 보이지 않는 의식 작용이 색과 형을 입고 보이는 형상이 되어 나타난 것이 다차원 생물인 것이다. 인식이 불가능할 때, 그것은 괴물이고 혼돈이지만 인식할 수 있다면 다차원 생물이다. 그러므로 괴물과 다차원 생물의 경계는 곧 인식의 경계라고 할 수 있다.
의식의 세계는 상징과 표상으로 이루어진 세계다. 상징과 표상이라는 매개물 없이 우리가 대상을 직접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징과 표상은 가장 직접적인 상태로 경험하는 세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의미의 구조—다차원 생물
그림에 대한 해석은 자유롭다. 각자 알아서 느껴지는 대로 보는 것이다. 그러니 나에게 물어보지 말라. 나는 그림의 의미를 묻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해왔다. 그런데 이제 그 말을 좀 수정해야 할 때가 왔다.
자유는 좋은 것이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세상을 관찰해보면 자유로움이란 언제나 일정한 법칙을 동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서남북이라는 방향을 전제하지 않고서는 운동의 자유로움이 있을 수 없다. 방향을 인식할 수 없다면 내가 앞으로 가는지 제자리걸음을 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행동의 자유란 말이 무색해진다.
보이지 않는 세계에서 이루어지는 정신적 자유로움이란 더더욱 그러하다.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는 정신적 세계에서의 자유로움은 자칫하면 정신적 무정부 상태에 빠질 수 있다. 한계가 없는 자유로움을 주장한다는 것은 형태가 없이 색채의 성질만이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처럼 어리석은 이야기다. 색채는 형태가 없는 상태로 나타날 수 없고 형태 역시 색채 없이 나타날 수 없다. 이들은 개념적으로는 나누어질 수 있지만 실재로는 하나로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유와 법칙의 관계도 그러하다.
혼돈의 세계에 있던 괴물과 같은 형상들에게 색과 형이라는 옷을 입혀 보이는 상태로 만들었다.
그럼 이제 그림은 무슨 뜻일까? 그림은 의미의 구조를 전달한다.
그림을 구성하는 색채와 형태, 형상이 전달하는 정보는 특정 의미 자체가 아니라 의미의 구조이다. 이 의미의 구조는 각자의 해석이 담기는 그릇과 같은 역할을 한다. 해석의 자유는 그릇의 구조가 규정하는 한계 내에 있다. 즉 각자 특정 의미를 도출해 낼 수 있는 자유는 의미의 구조가 가지고 있는 한계 안에 있다는 뜻이다. 그림이 제시하는 것은 의미의 구조다. 의미의 구조에 어떤 내용을 담는가는 보는 사람들에게 달려있다. 이것이 하나의 그림에 다수의 해석이 가능한 이유다.
이 가시화 된 의미의 구조가 곧 다차원 생물들이다. 인식의 경계 안에 들어온 괴물들이라고 할 수 있다.
괴물들은 이제 다차원 생물들이 되었다.
정수진
Works
Just Bread2018, oil on linen, 40x30cm
Still life2, transposition(convers inverse transposition), (same opposite similar distinct)2018, oil on linen, 100x100cm
Still life3 High dimensional breads and monsters2018, oil on linen, 100x100cm
잘 안쓰는 형상소로 그린 풍경2018, oil on linen, 220x180cm
Multi-Dimensional Creatures - Structure of Meanings
September 6 – October 6, 2018
Monsters
Monsters are created by a confusion of identity. The confus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is and that, the unrecognizable beings who live in a country of chaos and disorder. Those are the monsters.
A few of these monsters have appeared in my solo exhibition in 2006.
For me, at the time, a monster was the word referring to the whole of undefinable figures. Unknown and nameless figures, but obviously existing, and ever-growing forms. Not only were these mysterious figures the subject of curiosity but also the cause of obsession.
The unknown world and the existence of unknown beings are the sources of fear for humans. Humans always tend to instinctively reject things beyond the boundary of their perception, whether they are simple thoughts or beings. And these things can be seen as monsters.
+ READ MORE
I have lived with these monstrous figures for a long time. These monsters surrounded me like air and I was captivated by them, thrown into, and enjoyed the world without knowing it was the monsters’ world. They dominated me in both dream and reality. Among them, I naturally developed a desire for order. The desire for order, of course, is the desire to give an order to monsters, which are the symbols of disorder and chaos.
To put it simply, I was curious about the monsters’ identities. I wanted to know what caused the disorder and chaos that caused the monsters to exist, and what caused the monsters and the world to exist for. I had to.
So what was made is Budo theory. Budo theory is a way to give an order to the chaotic world of figures and recognize it. It is impossible to explore the world of monsters full of chaos and disorder without a clear and recognizable basis as possible. The world of chaos and disorder is a cause of fear, but also the world full of new information, and it cannot be gained without facing the world of chaos. It is new because it exists in the area I have never known, and therefore is on the line between chaos and order. The world of chaos and disorder coexist in a relative concept with the world of harmony and order. One disappears, the other disappears.
Obviously, expanding the boundary of perception is a result of imposing order in the world of chaos. However, as the boundary of perception expands, so does the world of chaos and disorder. Because a sense of order is also a state of temporary chaos. Once established, the boundary of perception is likely to collapse again, creating another chaotic state. The chaotic state is also for a boundary of a new dimension. New information is like setting boundaries for new perceptions, which are always created by rescheduling the confusion of existing boundaries.
By using Budo theory, I have learned how to lock monsters into the boundary of perception.
The World of Symbols
The world of symbols is a world of multi-dimensional creatures and of consciousness. Multi-dimensional creatures are those in which the invisible workings of humans appear in colors and shapes. When they are unrecognizable, they are monsters and chaos but if recognized, they become multi-dimensional creatures. Thus, the boundary between monsters and multi-dimensional creatures are the boundaries of perception.
The world of consciousness is a world of symbols. There is no way we can directly perceive objects without symbols. Therefor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ymbols are the world we experience in the most direct state.
Structure of Meaning — Multi-Dimensional Creatures
Interpretation of paintings is free. Each person sees it as s/he feels like it. So do not ask me. I have been saying to people who ask what a painting means. But it is time to make some adjustments to that.
Freedom is good. But is it really so? Looking around, we can see that freedom always comes with a certain rule. There cannot be freedom of movement without the premise of the four cardinal directions. If I cannot see the direction, I would not be able to know whether I am going forward or walking in place, which makes the term ‘freedom of action’ meaningless.
More so is the mental freedom that is achieved in the invisible world. Because I cannot see it. Freedom in the invisible spiritual world can easily fall into spiritual anarchy. To claim unlimited freedom is as silly as to argue that no form, only the nature of color can appear. Color cannot appear without form, nor can it appear without color. They can be separated conceptually, but they actually work as one. So is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dom and law.
The monstrous shapes in the chaotic world are dressed in colors and forms.
So what do these paintings mean? They convey the structure of mean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colors, forms, and shapes that make up a painting is not a specific meaning, but a structure of meaning. The structure of this meaning acts as a vessel of one's own interpretation. Freedom of interpretation is within the limits of the structure of the vessel. That means that each freedom to derive a specific meaning is within the limits of the structure of the meaning. What the picture presents is the structure of meaning. It is up to the viewer to decide what to include in the structure of meaning. This is why many interpretations are possible in a single painting.
This visible structure of meaning is multi-dimensional creatures. It can be said that they are monsters in the framework of perception.
The monsters are now multi-dimensional creatures.
Suejin Chung
괴물들
괴물은 정체성의 혼돈이 만든다. 이것과 저것을 가르는 경계의 혼선, 그래서 인식할 수 없는 존재, 혼돈과 무질서의 나라에 살고 있는 주민들이 바로 괴물들이다.
2006년 개인전에 몇 개의 괴물들이 등장했다.
그 당시 내게 괴물이란 그림을 그리고는 있지만 뭐가 뭔지 규정할 수 없는 형상들 전체를 지칭하는 단어였다. 알 수 없고 이름 붙일 수 없는 형상들, 그러나 분명히 존재하고 있고, 존재할 뿐만 아니라 계속 증식하며 나타나는 형상들, 이 정체를 알 수 없는 형상들은 호기심의 대상이기도 했지만 강박증의 원인이기도 했다.
— 미지의 세계, 정체불명의 존재들은 인간들에게 근원적 공포의 대상이다. 그래서 인간들은 언제나 자신의 인식의 경계를 벗어난 것들을, 그것이 단순한 생각이건, 존재이건 간에 본능적으로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그런 것들은 괴물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 READ MORE
나는 오랜 시간 괴물과 같은 형상들과 함께 생활해 왔다. 괴물들은 마치 공기처럼 내 주변을 에워싸고 있었고 나는 그것들에게 사로잡혀서 그것이 괴물의 세계인 것을 모른 체 그 세계에 빠져들었고 탐닉했었다. 괴물들은 꿈과 현실 양쪽에서 나를 지배하고 있었다. 그 가운데에서 아주 자연스럽게 내게는 질서에 관한 욕구가 반작용처럼 생겨났다. 질서에 대한 욕구, 그것은 당연히 무질서와 혼돈의 상징인 괴물들에게 질서를 부여하려는 욕구에 다름 아니다.
쉽게 말해서 나는 괴물의 정체가 궁금했었던 것 같다. 괴물을 존재하게 한 무질서와 혼돈의 원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괴물들과 그 세계는 무엇 때문에 존재하는지 알고 싶었다. 그럴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부도 이론이다. 부도 이론은 무질서하고 혼돈스러운 형상의 세계에 질서를 부여하여 인식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다. 가능한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기반이 없이 혼돈과 무질서로 가득한 괴물들의 세계를 탐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혼돈과 무질서의 세계는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이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새로운 정보들이 가득 찬 세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혼돈의 세계를 대면하지 않고서는 새로움이란 없다. 새로운 정보는 내가 지금까지 알 수 없었던 영역에 존재하기 때문에 새로운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혼돈과 질서의 경계에 있다.
혼돈과 무질서의 세계는 조화와 질서의 세계와 상대적 개념으로 공존하는 세계다. 하나가 사라지면 나머지 하나도 사라진다.
확실히 인식의 경계가 확장된다는 것은 혼돈의 세계에 질서를 부여하는 행위의 결과이기는 하다. 그러나 인식의 경계가 확장될수록 그와 비례하여 혼돈과 무질서의 세계도 확장된다. 왜냐하면 질서란 잠정적인 혼돈의 상태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한번 세워진 인식의 경계는 다시 무너져서 또 다른 혼돈 상태를 만들 가능성이 있다. 그 혼돈 상태는 새로운 차원의 경계를 위한 것이기도 하다. 새로운 정보는 새로운 인식의 경계를 세우는 것과 같고 이것은 언제나 기존 경계의 혼돈을 재정리하면서 만들어진다.
부도이론을 이용해서 나는 괴물과 같은 형상들을 인식의 경계에 가둘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상징의 세계
상징의 세계는 다차원 생물들의 세계이며 의식의 세계다. 인간들의 보이지 않는 의식 작용이 색과 형을 입고 보이는 형상이 되어 나타난 것이 다차원 생물인 것이다. 인식이 불가능할 때, 그것은 괴물이고 혼돈이지만 인식할 수 있다면 다차원 생물이다. 그러므로 괴물과 다차원 생물의 경계는 곧 인식의 경계라고 할 수 있다.
의식의 세계는 상징과 표상으로 이루어진 세계다. 상징과 표상이라는 매개물 없이 우리가 대상을 직접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징과 표상은 가장 직접적인 상태로 경험하는 세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의미의 구조—다차원 생물
그림에 대한 해석은 자유롭다. 각자 알아서 느껴지는 대로 보는 것이다. 그러니 나에게 물어보지 말라. 나는 그림의 의미를 묻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해왔다. 그런데 이제 그 말을 좀 수정해야 할 때가 왔다.
자유는 좋은 것이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세상을 관찰해보면 자유로움이란 언제나 일정한 법칙을 동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서남북이라는 방향을 전제하지 않고서는 운동의 자유로움이 있을 수 없다. 방향을 인식할 수 없다면 내가 앞으로 가는지 제자리걸음을 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행동의 자유란 말이 무색해진다.
보이지 않는 세계에서 이루어지는 정신적 자유로움이란 더더욱 그러하다.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는 정신적 세계에서의 자유로움은 자칫하면 정신적 무정부 상태에 빠질 수 있다. 한계가 없는 자유로움을 주장한다는 것은 형태가 없이 색채의 성질만이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처럼 어리석은 이야기다. 색채는 형태가 없는 상태로 나타날 수 없고 형태 역시 색채 없이 나타날 수 없다. 이들은 개념적으로는 나누어질 수 있지만 실재로는 하나로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유와 법칙의 관계도 그러하다.
혼돈의 세계에 있던 괴물과 같은 형상들에게 색과 형이라는 옷을 입혀 보이는 상태로 만들었다.
그럼 이제 그림은 무슨 뜻일까? 그림은 의미의 구조를 전달한다.
그림을 구성하는 색채와 형태, 형상이 전달하는 정보는 특정 의미 자체가 아니라 의미의 구조이다. 이 의미의 구조는 각자의 해석이 담기는 그릇과 같은 역할을 한다. 해석의 자유는 그릇의 구조가 규정하는 한계 내에 있다. 즉 각자 특정 의미를 도출해 낼 수 있는 자유는 의미의 구조가 가지고 있는 한계 안에 있다는 뜻이다. 그림이 제시하는 것은 의미의 구조다. 의미의 구조에 어떤 내용을 담는가는 보는 사람들에게 달려있다. 이것이 하나의 그림에 다수의 해석이 가능한 이유다.
이 가시화 된 의미의 구조가 곧 다차원 생물들이다. 인식의 경계 안에 들어온 괴물들이라고 할 수 있다.
괴물들은 이제 다차원 생물들이 되었다.
정수진
WORKS
Just Bread2018, oil on linen, 40x30cm
Still life2, transposition(convers inverse transposition), (same opposite similar distinct)2018, oil on linen, 100x100cm
Still life3 High dimensional breads and monsters2018, oil on linen, 100x100cm
잘 안쓰는 형상소로 그린 풍경2018, oil on linen, 220x180cm
© 2023 LEE EUGEAN GALLERY